칼럼

칼럼
이전 목록 다음

요셉의 삶, 토지공개념과 노예해방, 그리고 희년 / 남기업

작성자 : 희년함께 (211.227.108.***)

조회 : 3,436 / 등록일 : 20-10-07 13:48

 

 

 

요셉의 삶, 토지공개념과 노예해방, 그리고 희년

 

 

 

남기업 / 토지+자유연구소 소장/희년함께 공동대표

 

창세기에서 발견하는 희년

 

성경의 첫 번째 책인 창세기가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한 인물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 아니라 요셉이다. 왜일까? 요셉의 이야기가 창세기뿐만 아니라 성경 전체에서, 나아가서 기독교 신앙 이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성경의 핵심을 구약은 ‘거룩한 나라’, 신약은 ‘하나님 나라’라고 요약한다. 그렇다면 하나님 나라, 거룩한 나라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렇게 묻는 까닭은 하나님 나라를 구하려면 그것을 머리에 떠올릴 수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는 것을 구할 순 없다. 이런 관점에서 생각하면 창세기가 요셉을 그토록 중요하게 다룬 이유를 알게 된다. 요셉 이야기가 하나님 나라가 어떤 모습인지, 어떤 사람이 거룩한 나라 형성에 쓰이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하나님 나라의 모형은 모세가 하나님께 받은 시내산 율법에 들어있다. 안식일과 안식년을 포함한 희년, 즉 시내산 율법의 핵심인 희년이 하나님 나라의 모형인 것이다. 토지에 대한 권리를 모두가 평등하게 누리고, 즉, 모두가 자영농이 되고, 채무자가 부채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되며, 노예가 해방되어 자유인이 된 상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이 각자에게 주신 재능을 당당하게 꽃피우며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하나님의 나라다.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시내산 율법은 거대한 신전과 신상이 특징인 우상종교와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 당시 우상종교는 99%의 백성이 1%의 특권층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뿐이다. 자유를 상실한 노예, 부채에 짓눌린 채무자. 그리고 지주에게 정신적ㆍ경제적으로 예속된 삶을 사는 소작인의 안위를 염려하고 탄식하는 분은 오직 여호와 하나님 한 분뿐이다. 

 

이런 정신은 에수님에게로 그대로 이어지고 완성된다. 예수님은 시내산 율법을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완성하러 오셨다고 말씀하셨고 자기의 사명이 희년을 이 땅에서 구현하는 것임을 분명히 하셨다(눅 4: 18~19). 그리고 성령을 받은 초대교회 교인들은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희년을 실천하기에 이른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희년의 구체적인 모습이 성경의 첫 번째 책인 창세기의 요셉을 통해서 드러난다는 점이다. 그것도 이스라엘이 아닌 애굽이라는 이방 땅에서 말이다.

 

하나님의 마음을 닮은 요셉

 

하나님은 사람을 통해서 자신의 나라를 이루어가신다. “불쌍한 이들을 한없이 측은히 여기며 가난한 아들을 바라보면 가슴 아파 견디지 못하는 하나님”(출 34: 6 현대어성경)과 같은 마음을 품은 사람들을 통해서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가신다. 관심사가 다른 사람과 동역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하나님도 자신과 관심사와 마음이 같은 사람과 함께 일하신다.

 

성경은 요셉이 바로 그런 인물이라고 소개한다. 창세기가 이것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지 않지만, 요셉은 말도 통하지 않는 애굽에서의 기막힌 노예 생활을 하면서 자신과 같은 노예들이 얼마나 비참한 삶을 살고 있는지를 직접 체험하고 목격했을 것이고, 이들의 삶을 한없이 불쌍하게 여겼을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나아가서 이들이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방법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했을 것이며, 그 안타까운 마음을 기도로 승화시켰을 것이다. 

 

하나님은 바로 이런 사람에게 지혜를 주신다. 아무 생각 없는 사람에게 자신의 지혜와 비전을 보여주시지 않는다. 성경에 나오는 신앙의 위인들은 다 이런 사람이다. 어떻게 하면 가난이 청산되고 각자가 자기의 삶을 당당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기도했던 모세에게 시내산 율법이 주어진 것이다. 아무 생각이 없는 모세를 하나님이 갑자기 시내산으로 불러내서 율법을 주신 것이 아니다.

 

7a722e8f5554c24cd1dc4f7841a8c06c_1602046
 

성경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요셉이 총리로 발탁된 계기도 긍휼히 여기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창세기 40장 6~7절에 보면 옥에 갇힌 요셉이 관원 두 사람의 근심 띤 얼굴을 보고 그들에게 다가가 “어찌하여 오늘 당신들의 얼굴에 근심의 빛이 있나이까.”라고 묻는 장면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우리는 요셉이 측은지심이 몸에 배어있다는 걸 읽어낼 수 있다. 그렇다. 하나님의 마음, 즉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그가 총리로 발탁된 계기였고, 결국 그것이 하나님 나라의 모형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길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요셉의 총체적 개혁 구상

 

우리가 알고 있듯이 요셉은 바로의 ‘기괴한’ 꿈을 해석하고 왕의 전권을 위임받는 총리가 된다. 이것은 바로와 신하들이 요셉이 닥쳐올 환난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임자로 보았기 때문이다(창 41: 37~43). 여기에서 우리는 바로라는 인물이 자신의 정권을 지키고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에만 관심을 두는 왕이 아니라 백성을 사랑하는 왕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요셉이 바로와 신하들에게 제시한 해법은 무엇이었을까? 단순히 풍년에 양식을 모아두었다가 흉년에 나눠주는 정책이었을까? 아니다. 요셉은 평소에 고민했고 기도하면서 정리했던 방안들, 즉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노예처럼 시달리고 가난에 굶주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제시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바로가 그에게 전권을 위임할 필요도 없다.

 

그의 총체적 개혁 구상은 자신이 총리에 취임하자마자 애굽의 온 땅을 순찰했고(41: 45~46), 흉년이 들자 양곡을 무상으로 분배하지 않고 팔면서 애굽의 모든 돈과 가축, 토지, 노동력을 확보해나갔다는 것에서 드러난다. 또한 “애굽 땅 이 끝에서 저 끝까지의 백성을 성읍들에 옮겼”(창 47:21)다는 것에서 요셉이 백성들의 노동력을 활용하여 국토종합개발에 나섰다는 것도 유추할 수 있게 된다. 경지를 정리하고 택지를 조성하고 주택을 건설한 후 백성들을 성읍으로 이주시킨 것이다. 백성들의 주택문제까지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 요셉의 구상이었다.

 

요셉의 토지공개념과 노예해방

 

경지 정리를 마친 요셉은 국유화한 토지를 백성들에게 임대료 20%만 받고 임대한다. 종자를 나눠주면서 “가족과 어린아이의 양식으로 삼으라”(47:24)고 명한다. 고대의 왕정 사회에서는 세금이 소출의 50%가 넘는 경우가 거의 다이고 심지어 80%에 이르는 경우도 상당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20%라는 것은 혁명적인 조치다. 이렇듯 토지국유화 및 임대, 오늘날로 말하면 토지공개념 실시는 지배자와 특권층이 아니라 철저히 백성들을 위한 법이다. 이렇게 요셉의 토지공개념 정책은 왕권 강화 차원이 아니라 대지주의 등장을 막고 토지와 집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이 생기는 것을 차단이 목표였다. 

 

나아가 그는 노예제도도 철폐한다. “바로를 위하여 몸과 토지를 샀노라.”(47: 23)라고 했지만, 이것은 백성들을 바로의 노예로 만들기 위함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신분을 동일하게 만들기 위함, 즉, 신분제도 철폐를 위한 조치다. 대지주와 귀족의 특권을 폐지하고 왕권과 인권의 동시 강화를 꿈꾼 것이 바로 요셉 개혁의 실체인 것이다.

 

요셉의 한계를 극복하는 모세의 희년법

 

요셉의 토지공개념과 노예해방 정책은 400년 후에 모세의 시내산 율법으로 완성된다. 모세는 토지를 팔았더라도 최장 50년이 되면 돌려받을 수 있도록―물론 그 전이라도 무르기 제도를 통해서 돌려받을 수 있도록 했다.―7년에 1번씩 노예와 채무에서 해방되고, 적어도 7일에 하루는 종과 가축까지 쉬게 하는 율법을 완성한다. 

 

요셉의 개혁은 위대했지만 불완전했다. 어떤 왕이 등장하느냐에 따라서 토지공개념 정책은 후퇴할 수 있었고, 백성들의 자유는 제한되고 유보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모세의 율법은 이런 한계를 보완한다. 시내산 율법은 하나님께서 직접 명령한 법이었고, 이것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기 위해 그 내용을 날마다 자녀들에게 가르치도록 했다. 그뿐 아니라 모세는 토지를 팔거나 노예로 전락했을 경우라도 토지를 되찾고 노예에서 해방될 수 있는 장치까지 마련했다. 모세의 시내산 율법이 요셉의 개혁 프로젝트의 한계를 극복하고 완성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요셉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요셉의 놀라운 개혁정책이 신정국가 이스라엘이 아니라 세속국가 애굽에서 실시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성경의 정신을 오늘날 세속 사회에서 구현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이것은 현실 속에서 성경의 이상을 구현하려는 불가능에 도전하는 요셉과 같은 하나님의 사람들을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말이다.

 

<참고문헌>

 

길동무. 2012. 『창세기』. 케노시스영성원

민종기. 2017. “요셉의 토지제도와 희년법의 사회정의”. in 김수정 외 『고엘, 교회에 말걸다 : 공동체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성서적 모델』. 홍성사. pp. 27~56.

 

※위 글은 주간기독교에 기고된 글입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목록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 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 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SITE MAP

팀뷰어 설치파일 다운받기